본문 바로가기

이산수학65

[이산수학] 수의 연산_합의 표시 ∑, 곱의 표시 ∏, 나누기ㅣ, 나머지 mod 의 뜻은? 이산수학_수의 연산_합의 표시 ∑, 곱의 표시 ∏, 나누기연산ㅣ, 나머지연산 mod 의 뜻은? 읽는법 ■ 합의 표시: 시그마 일정 규칙으로 나열된 값의 합(i: 합의 색인) 연산풀이를 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 곱의 표시: 프로덕트 일정 규칙으로 나열된 값의 곱(i: 곱의 색인) 연산풀이를 보겠습니다. ■ 나누기 연산 정수 n을 d로 나누어 몫 q를 구하는 연산 또는 n = dq를 만족하는 정수 q를 구하는 연산 d|n: d로 n을 나눈다.(d ≠ 0) q: 몫 (quotient) d: n의 약수(divisor) 또는 인수(factor) n: d의 배수 ■ 나머지 연산 정수 n을 d로 나누어 나오는 몫 q와 나머지 r이 있을 때, r을 구하는 연산 n = dp + r을 만족하는 정수 r을 구하는 연산 .. 2020. 7. 29.

[이산수학]간접증명법이란?(대우증명, 모순증명, 반례증명, 존재증명) 이산수학_증명_간접증명법이란?(대우증명, 모순증명, 반례증명, 존재증명) 간접증명법은 증명해야 할 명제를 논리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화시켜 증명하기 쉽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 대우증명법 함축명제 p→q가 ~q→~p와 동치임을 이용하여 증명하는 방법 ■ 모순증명법 함축명제 p→q가 ~(p∧~q)와 동치임을 이용하여 증명하는 방법 ■ 반례증명법 주어진 명제에 모순이 되는 예를 찾아 증명하는 방법 ■ 존재증명법 주어진 명제에 참이 되는 예를 찾아 증명하는 방법 ----------------------------------- 이산수학 총정리 목록 보러가기 ----------------------------------- 2020. 7. 29.

[이산수학]직접증명법이란?다양한 예제로 익히기 이산수학_증명_직접증명법_명제 변형하지 않고 증명하는 법 직접증명법(Direct Proof)은 명제를 변형하지 않고 증명하는 방법입니다. 주어진 명제를 참이라고 가정하고 정리와 공리를 이용해 명제가 참이 됨을 증명합니다. 예제1 두 홀수의 곱이 홀수임을 증명하라. p : 두 수 m, n은 홀수이다 q : mn은 홀수이다 p→q : 두 홀수 m, n의 곱은 홀수이다 ∴ 명제 p→q "두 홀수 m, n의 곱은 홀수이다"는 참이다. 예제2 모든 정수 n에 대해 n이 짝수면, n^2도 짝수임을 증명하라 p : 정수 n은 짝수이다 q : n^2도 짝수이다 p→q : 정수 n은 짝수이면, n^2도 짝수이다 ∴ 명제 p→q "정수 n은 짝수이면, n^2도 짝수이다"는 참이다. 예제3 두 유리수의 합이 유리수임을 증명.. 2020. 7. 29.

[이산수학]공리, 정의, 정리, 증명이란?_다양한 예로 이해하기 이산수학_증명_공리, 정의, 정리, 증명이란?_다양한 예로 이해하기 개발자가 직접 만든 프로그램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프로그램의 처리속도, 유용성, 유지보수성 등 여러 가지 검증자료를 보여주는 과정을 증명이라고 합니다. 그럼 증명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공리(Axiom) 별도의 증명 없이 참(T)으로 이용되는 명제 예) - 어떤 것도 포함하지 않는 집합(공집합)이 존재한다. - 어떤 자연수 n에 대해, n+1이 존재한다. - 두 점이 주어졌을 때, 그 두 점을 통과하는 직선을 그을 수 있다. ■ 정의(Definition) 논의의 대상을 보편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 또는 기호의 의미를 확실하게 규정한 문장이나 식 예) - 한 내각의 크기가 직각인 삼각형을 직각삼각형이라.. 2020. 7. 29.

[이산수학]한정자(Quantifier)란? 기호∀와 ∃의 의미 이산수학_명제와논리_한정자(Quantifier)란? 기호∀와 ∃의 의미 명제는 참과 거짓을 판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수식입니다. 그럼 변수를 포함하는 명제도 있지 않을까요? 변수에 들어있는 값에 따라서 참과 거짓을 판별할 수 있다면 역시 명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변수를 포함한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려면 변수의 논의영역을 지정해줘야합니다. 이를 정의하기 위해서 한정자를 사용합니다. 즉 한정자는 변수의 범위를 지정해줍니다. ■ 한정자(Quantifier) 명제함수의 참, 거짓을 판별하려면 논의영역의 범위를 확실히 정의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인 한정자입니다.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명제함수: 논의영역 D에 속하는 변수 x를 포함하여 진릿값을 판별할 수 있는 문장 ※논의영.. 2020. 7. 29.

[이산수학]논리적 동치(Logical Equivalence)/동치법칙이란? 이산수학_명제와논리_논리적 동치(Logical Equivalence)/동치법칙이란? ■ 논리적 동치란? 합성명제 p와 q의 진릿값이 서로 같은 경우를 말합니다. 기호로는 p ≡ q 로 표시하며, "p와 q는 같다" 또는 "p와 q의 진릿값은 같다"라고 읽습니다. ■ 논리적 동치법칙이란? 기본적인 논리적 동치법칙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이 논리적 동치법칙에 의해 정의된 합성명제들은 진릿값이 서로 같기 때문에, 두 개의 명제가 논리적 동치임을 증명하거나 복잡한 합성명제를 간단히 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결합법칙과 분배법칙의 차이는? 결합 법칙은 괄호 안에 위치한 기호와 괄호 밖에 위치한 기호가 같아야 적용할 수 있고, 분배 법칙은 괄호 안의 기호와 괄호 밖에 위치한 기호가 달라야 적용할 수 있습니다.. 2020. 7. 29.

[이산수학]역(Converse), 이(Inverse), 대우(Contraposition)이란?_진리표첨부 이산수학_명제와논리_역(Converse), 이(Inverse), 대우(Contraposition)이란? 때로는 주어진 명제만으로 논리를 전개하거나 증명하기가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이때 역, 이, 대우 중 하나를 이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간접증명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 역, 이, 대우 진리표 빨간네모: 대우명제는 본 명제와 같은 진릿값을 갖습니다. 파란네모: 역명제는 이명제와 같은 진릿값을 갖습니다. ■ 연습문제 명제 "오늘 눈이 오면 나는 치킨을 먹는다."의 역, 이, 대우를 구해봅시다. p: 오늘 눈이 온다. q: 나는 치킨을 먹는다. 역: 내가 치킨을 먹으면 눈이 온다. 이: 오늘 눈이 오지 않으면, 나는 치킨을 먹지 않는다. 대우: 내가 치킨을 먹지 않으면, 오늘 눈이 오지 않는다.. 2020. 7. 29.

[이산수학]논리게이트(Logit Gate)란? 게이트의 종류(AND,OR, NOT,NAND,NOR,XOR) [이산수학]논리게이트(Logit Gate)란? 게이트의 종류(AND,OR, NOT,NAND,NOR,XOR) 디지털 회로를 만들려면 정확한 연산 과정을 표현하는 논리회로(logit circuit)가 필요합니다. 연산 과정을 회로로 표현할 때 논리게이트(Logic Gate)를 이용합니다. 논리 게이트는 하나 이상의 2진 입렵 정보를 받아 하나의 2진 출력 정보를 갖습니다. ■ 논리 회로(logit circuit) -논리 연산을 통해 전기 장치를 제어하는 통로 -컴퓨터 및 기타 전기 장치를 작동하게 만드는 기초 부품 -불 대수를 이용하여 설계 -여러 입력을 해도 출력 1개만 나온다. ■ 게이트(gate) -논리 회로의 기초 구성요소 -각 게이트는 불 연산 하나를 구현 -데이터 저장 기능은 없음 ■ 기본게이트 .. 2020. 7. 29.

[이산수학]조건명제(함축)이란?예시로 쉽게 이해하기/함축진리표 [이산수학]조건명제(함축)이란?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일반적으로 생각할 때 ' 안전 검증을 받은 놀이터에서 놀면 다치지 않는다. ' 는 말이 됩니다. 대부분 동의할 수 있죠. 그런데 여기서 전제를 반대로 바꿔볼께요. '안전 검증을 받지 않은 놀이터에서 놀면 다친다.' '안전 검증을 받지 않은 놀이터에서 놀면 다치지 않는다. ' 검증을 받지 않은 놀이터니까 결과가 어떻든 그럴 수 있다는 생각이 들죠. 그럼 이거는요? '안전 검증을 받은 놀이터에서 놀면 다친다.' 검증을 받았는데 다친다니 큰일날 일입니다. 이런 경우는 문제로 삼아야죠. 사실 위의 문장은 정확히 명제 두 개로 딱 나눌 수 없는 예시이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넣었습니다. 조건명제도 마찬가지입니다.함축 p→q는 조건이 되는 명제 p가 참(T)이고 결.. 2020. 7. 29.

[이산수학]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 흡수법칙이란?_진리표첨부 [이산수학]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 흡수법칙이란?_진리표첨부 ■교환법칙 ■결합법칙 1 2 ■분배법칙 1 X(Y+Z) = XY + XZ 2 ■흡수법칙 2020. 7. 28.

[이산수학]드 모르간(De-Morgan) 법칙이란? [이산수학]드 모르간(De-Morgan) 법칙이란? 드 모르간의 법칙은 AND와 OR연산을 서로 바꾸고, 각 변수의 보수(부정)을 취합니다. 집합론에도 적용됩니다. ■ 드 모르간의 제 1법칙 A x B의 보수를 취한 것이 A의 보수와 B의 보수를 합한 것과 같습니다. ■ 드 모르간의 제 2법칙 A + B의 보수를 취한 것이 A의 보수와 B의 보수를 곱한 것과 같습니다. 불 대수를 적용해 진리표를 그려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1), 거짓(0)으로 작성한 표입니다. 파란색 네모가 드 모르간의 제 1법칙이고, 빨간색 네모가 드 모르간의 제 2법칙입니다. 드 모드간 법칙이 프로그래밍시 자주 적용되는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if문 조건을 작성할 때 20세 이상이고 140 이상은 경우의 부정이어야만 놀.. 2020. 7. 28.

프로그래머를 위한 이산수학 총정리_수학으로 이해하는 디지털 논리: 이산수학(한빛미디어, 박주미지음) 논리적인 프로그래머를 위한 이산수학 총정리 수학으로 이해하는 디지털 논리: 이산수학(한빛미디어, 박주미지음)으로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소제목별로 글을 작성하였으니 해당 링크로 들어가서 확인하면 됩니다. ※ 링크 연결이 되지 않은 글은 예약발행으로 아직 활성화가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 페이지를 즐겨찾기 해놓으면 편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각 주제마다 개념을 이해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빈 칸 채우기 식의 문제(PDF)를 준비했습니다. ------- 완성되는대로 하나씩 업로드하겠습니다. #명제와 논리 1 논리란? 프로그래머가 논리적이어야 하는 이유 2 명제와 진릿값이란? 3 논리연산자란?(부정, 논리곱, 논리합, 배타적 논리합)_진리표로 나타내기 4 불 대수와 연산우선순위란? 5.. 2020. 7. 27.

[이산수학]논리연산자란?(부정, 논리곱, 논리합, 배타적 논리합)_진리표로 나타내기 [이산수학]논리연산자란?(부정, 논리곱, 논리합, 배타적 논리합)_진리표로 나타내기 명제는 두 개 이상 결합하여 사용됩니다. 이 때 논리 연산자를 이용하는데 부정, 논리곱, 논리합, 배타적 논리합이 있습니다. 여러 명제를 합친 결과를 비교할 때 유용한 '진리표(Truth Table)'가 있습니다. 명제에서 나올 수 있는 참/거짓 판단의 모든 가능성을 표로 나열하였습니다. 예로 단순 명제 p의 진리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순 명제: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명제 p T(True, 참) F(False, 거짓) 이제 명제의 결합 중에 어떤 것이 있는지 보고, 이해를 위해 진리표와 밴다이어그램도 다루겠습니다. ■ 부정 (Negation) NOT 명제 p를 부정 예) 오늘 새로운 메뉴가 나온다. ->오늘 새로운.. 2020. 7. 27.

[이산수학]불 대수와 연산우선순위란? [이산수학]불 대수와 연산우선순위란? ■ 불 대수(Boolean Algebra)란? Boolean Algebra의 Boolean은 C#의 Bool형, JAVA의 Boolean형 어원입니다. 이름이 불(Boolean)인 이유는 영국의 수학자 조지 불이 창안한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 대수학의 일부입니다. - 변수의 값으로 진릿값을 사용합니다. : 참(1) 또는 거짓(0) - 논리학을 형식화하기에 적합니다. ※ 대수학: 개개의 숫자 대신에 숫자를 대표하는 일반적인 문자를 사용하여 수의 관계, 성질, 계산 법칙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표준국어대사전) ■ 불 대수의 기초 연산 - 명제의 결합 글에서 다룬 내용에서 T가 1, F가 0이 됐을 뿐입니다. - 다른 기호를 쓰기도 합니다. ■ 연산 우선 순위 - 프로그래.. 2020. 7. 27.

[이산수학]논리란? 프로그래머가 논리적이어야 하는 이유 [이산수학]논리란? 프로그래머가 논리적이어야 하는 이유 컴퓨터는 감정이 없습니다. 그래서 전류의 높고, 낮음을 더 확장해서 논리적으로 표현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사람을 공감하고 협업할 때, 설득의 기반이 될 수 있는게 논리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래머라면 논리적인 사고 방식을 키우기 위해서 노력해야합니다. 그 방법 중 하나가 수학을 배우는 것입니다. ■ 논리적인 사고방식이란? (정의) 논리적인 사고방식은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정의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어떤 관찰 결과의 진리값(참/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 - 연결된 여러 참/거짓 변수들로부터 최종 진릿값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 - 양립할 수 없는 모순된 주장을 찾아낼 수 있는 능력 - 사실(fact) 또는 확.. 2020.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