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산수학65

[이산수학]함수의 성질(단사함수,전사함수,전단사함수) 함수는 입력과 출력의 대응 형태에 따라 성질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함수의 성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모든 공변역의 원소가 정의역의 원소들과 대응하는지, 또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정의역 원소들이 하나의 공변역 원소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됩니다. ■ 단사함수 (Injection Function / One-to-one Function / Injection) 정의역의 모든 원소들이 서로 다른 공변역 원소와 대응하는 함수 -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원소가 서로 다른 상(image)을 갖음 - 정의역의 원소는 공변역의 원소보다 수가 적거나 같아야 함 - 치역 원소도 공변역의 원소보다 수가 작거나 같아야 함 ■ 전사함수 (Subjective Function / One Function / Subjective) 공.. 2020. 8. 6.

[이산수학]두 함수의 합과 곱, 그 정의역 구하기_예제포함 [이산수학]두 함수의 합과 곱, 그 정의역 구하기_예제포함 두 함수 모두 공변역이 실수일 때 함수 간의 연산도 가능합니다. ■ 함수의 합(Sum)과 곱(Product) - 두 함수 f: X → R과 g: Y → R이 있을 때, (f+g)(x) = f(x) + g(x) (fg)(x) = f(x) g(x) - 함수의 합과 곱에 대한 정의역 dom(f+g) = dom(fg) = dom(f) ∩ dom(g) 예제 다음 두 함수의 합과 곱을 구하고, 그 정의역을 구하라. 풀이 더보기 예제풀이 수학으로 이해하는 디지털 논리 이산수학 262p 참고 ----------------------------------- 이산수학 총정리 목록 보러가기 ----------------------------------- 2020. 8. 6.

[이산수학] 함수의 상, 정의역, 공변역, 치역 ■ 상(Image), 정의역(Domain), 공변역(Codomain), 치역(Range)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함수 f: A → B에 대해, 집합 A의 원소 a에 대응하는 집합 B의 원소 b는 상(함숫값)라고 한다. 집합 A를 정의역라고 하며 dom(f)로 표기한다. 집합 B를 공변역라고 하며 codom(f)로 표기한다. 상(함숫값)의 집합을 치역라고 하며 ran(f)={f(a)|a ∈ A}로 표기한다. 예제 다음은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관계를 보이는 그림입니다. 함수인지 아닌지 판별하고 함수면 정의역, 공변역, 치역을 구하세요. 풀이 (1) 집합 A의 원소 중 c에 대응되는 상을 갖지 않습니다. ∴ 함수가 아니기 때문에 정의역, 공변역, 치역을 구할 수 없습니다. (2) 집합 A의 모든 .. 2020. 8. 6.

[이산수학] 함수란? 함수와 관계의 차이 ■ 함수란 (Function) f: A → B 집합 A, B에 대해 집합 A에서 B로 가는 관계가 성립할 때, 집합 A의 원소 a에 대해 집합 B의 원소 b 하나가 대응되는 관계 a ∈ A,b ∈ B고 (a, b) ∈ f일 때, f(a) = b ■ 대응이란(Correspondence) 집합 A, B가 있을 때, 집합 A의 원소 a에 대해 집합 B의 원소 b가 확정되는 경우 “b는 a에 대응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1부터 x까지 더하는 알고리즘이 있다고 합시다. 정수값인 x를 입력받으면 1부터 x까지의 합을 구해 결과 s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입력 받아 필요한 처리를 하고 출력하는 형태를 함수라고 합니다. 위의 예에서 '입력 x와 출력s 함수 sum에 의해 대응되는 관계', '함수sum 은 입.. 2020. 8. 6.

[이산수학]집합의 연산1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_벤 다이어그램/예제 이산수학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벤 다이어그램/예제 ■ 합집합 집합 A, B가 있을 때, 집합 A와 B에 모두 속하거나 두 집합 중 합집합에 속하는 원소들로 구성되는 집합 A U B = {x|x∈A∨x∈B} ■ 교집합 집합 A, B가 있을 때, 집합 A와 B에 모두 속하는 원소로 구성되는 집합 A ∩ B = {x|x∈A∧x∈B} ■ 차집합 집합 A, B에 대하여 A에는 속하지만 B에는 속하지 않는 원소로 구성되는 집합 A - B = {x|x∈A∧x∈∉B} 예제 집합 A, B, C를 보고 다음을 구하여라 A = {a, b, c, d} B = {c, d, f. g, h} C = {f. h} (1) A U B (2) B ∩ C (3) B - A 풀이 더보기 예제풀이 (1) A U B = {a, b, c, d.. 2020. 8. 2.

[이산수학]집합의 연산2 (대칭차집합, 여집합, 곱집합, 멱집합)_벤다이어그램, 예제 [이산수학]집합의 연산2 (대칭차집합, 여집합, 곱집합, 멱집합) ■ 대칭차집합 (Symmetric Difference): A ⊕ B 집합 A, B에 대하여 A - B에 속하거나 B - A에 속하는 원소로 구성되는 집합 A ⊕ B = {x|(x∈A∧x∉B)∨(x∉A∧x∈B)} = {x|(x∈A-B)∨(x∈B-A)} ■ 여집합 또는 보집합(Complement) 워드 ■ 곱집합(Cartesian Product): A X B 집합 A, B에 대하여 a ∈ A, b ∈ B일 때, 순서쌍 (a, b)의 집합 A × B = {(a, b)|a∈A ∧ b∈B} |A × B| 곱집합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즉, A × B와 B × A의 결과는 서로 다릅니다. ■ 멱집합(Power Set): P(A) n개의 원소.. 2020. 8. 2.

[이산수학]관계의 정의역, 공번역, 치역이란? 구하는 법은? 관계와 관련된 집합들의 명칭은 위치나 의미에 따라 달리 표현합니다. ■ 정의역(Domain)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이항관계 R에 속한 순서쌍의 첫 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 집함, 즉 집합 A dom(R)={a|a∈A} ■ 공번역(Codomain)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이항관계 R에 속한 순서쌍의 두 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 집합, 즉 집합 B codom(R)={b|b∈B} ■ 치역(Range)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관계 R에 속한 순서쌍의 두 번째 원소들을 모아놓은 집합, 공번역의 부분집합 ran(R)={b|(a,b)∈R}⊆B 예제 집합 A = {(x|1≤x≤5, x는 정수}이고, A에서 A로 가는 관계 R은 다음과 같을 때, 관계 R의 정의역, 공변역, 치역을 구하세요. R =.. 2020. 8. 2.

[이산수학]관계란? 순서쌍, 순서쌍 집합이란? ■ 이산수학에서 관계란? 이산수학에서의 관계는 다른 두 집합에 속하는 서로 다른 두 원소의 관련사항을 나타낸 것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부서별로 성과에 따라 보너스를 준다고 하면 필요한 정보들이 있습니다. 부서별 직원 명단과 직원별 성과 보고서가 필요할 것입니다. 둘 자료를 잘 취합해야겠지요. 이런 식으로 데이터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 서로 다른 집합(테이블)에 속하는 원소(데이터)간의 관계에 대한 표현, 특징, 연산 등에 대해 다룹니다. ■ 순서쌍 집합이란? 관계를 가지는 집합(테이블)의 원소(데이터)들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 원소들의 순서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우수 직원 명단(테이블)"이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각 필드를 다른 순서로 입력한다면 .. 2020. 8. 2.

[이산수학]역행렬을 구할 수 있는지 구분하기(가역행렬,특이행렬) [이산수학]역행렬을 구할 수 있는지 구분하기(가역행렬,특이행렬) 역행렬이란? ■ 가역행렬(Invertible Matrix, Nonsingular Matrix) 역행렬이 존재하는 행렬 ■ 특이행렬(Singular Matrix)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 행렬 ■ 역행렬을 구할 수 있는지 구분하기 행렬식이 0인 경우는 정사각행렬이라 하더라도 역행렬을 구할 수 없습니다. 행렬식이 0이면 수반행렬에 곱하는 1/det(A)가 부모가 0이 되기 때문입니다. ※수반행렬: 여인수행렬에 대한 전치행렬 ※전치행렬: m × n 행렬의 열과 행을 바꾼 n × m 행렬 예제를 통해 이해해보겠습니다. 수학으로 이해하는 디지털 논리 이산수학-한빛미디어 181p 다음 행렬이 역행렬을 구할 수 있는지 없는지 구분하고, 역행렬을 구할 수 .. 2020. 7. 30.

[이산수학]역행렬이란?_행렬식과 여인수, 전치행렬을 이용해서 구하기 [이산수학]역행렬이란?_행렬식과 여인수, 전치행렬을 이용해서 구하기 실수 a의 곱셈에 대한 역원으로 1/a (a≠0)이 있듯이 행렬에도 역행렬이 있습니다. 즉 대수 연산에서 어떤 값 a의 곱셈에 대한 역원이 a와 연산하여 곱셈에 대한 항등원 I이 나오는 것처럼 행렬 A의 역행렬은 행렬 A와 곱셈 연산하여 단위행렬 I가 나옵니다. ■ 역행렬 정사각행렬 A에 대해 AB = BA = I 를 만족하는 행렬 B 예제 풀이 위 방법은 차수가 높아질수록 변수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행렬식과 여인수, 전치행렬을 이용해 역행렬을 구하기도 합니다. ■ 행렬식을 이용한 역행렬 ■ 수반행렬 여인수행렬에 대한 전치행렬 ※전치행렬: m × n 행렬의 열과 행을 바꾼 n × m 행렬 역행렬을.. 2020. 7. 30.

[이산수학]부울행렬의 연산자와 연산의 특징 이산수학 부울행렬의 연산자와 연산의 특징 부울행렬은 모든 원소가 부울값(0과 1)으로만 구성된 행렬입니다. 그래서 일반 행렬과 다른 연산 방식을 이용합니다. 일반행렬 특징보러가기 ■ 부울행렬의 연산자 연산자 중 합과 교차는 두 행렬의 덧셈과 뺄셈처럼 같은 자리에 있는 원소 간에만 이루어집니다. - 합은 논리연산자 중 논리합(∨)연산과 방식이 같습니다. - 곱은 논리연산자 중 논리곱(∧)연산과 방식이 같습니다. - 부울곱(boolean product)은 행렬의 곱셈 방식과 논리합, 논리곱의 연산을 적용하여 수행합니다. ■ 부울행렬의 연산의 특징 1) A∨A=A, A∧A=A 2) A∨B=B∨A, A∧B=B∧A 3) (A∨B)∨C=A∨(B∨C), (A∧B)∧C=A∧(B∧C), A⊙(B⊙C)=(A⊙B)⊙C 4).. 2020. 7. 30.

[이산수학]동치관계와 동치류란?_예제포함 이산수학 동치관계, 동치류 예제로 이해하기 ■ 동치관계 관계에서 동치관계라는 것은 집합의 원소들이 '같다'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어떤 관계가 동치관계라고 하면, 그 관계에 포함된 순서쌍 원소 (a, b)에서 a와 b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10진수의 7과 2인수 111이 같은 수임을 의미하는 것과 같습니다. 동치관계가 성립되려면 반사관계, 대칭관계, 추이관계가 모두 성립해야 합니다. 예제 정수 집합 Z에 대한 관계 R = {(a,b) ∈ Z × Z|a=b} 일 때, 관계 R이 동치관계인지 판별하라. 풀이 더보기 예제풀이 - (a,b) ∈ R일 때, a = b이다. ∴관계 R은 반사관계다. - (a,b) ∈ R일 때, a = b므로 b = a도 성립하여 (b, a) ∈ R이다. ∴관계 R은 대칭.. 2020. 7. 30.

[이산수학]관계의 폐포(Closure)란? 반사폐포, 대칭폐포를 관계행렬, 방향그래프로 나타내기 이산수학_관계의 폐포(Closure)란? 반사폐포, 대칭폐포 폐포는 원래의 관계에 순서쌍 원소를 추가하여 특정 성실에 맞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킵니다. 예를 들어 지역민만 대출할 수 있는 도서관이 있다고 합시다. 도서관 데이터베이스는 지역민 정보만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겠지요. 하지만 내년부터 다른 동네주민들도 책을 빌릴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변경한다고 합니다. 이제는 다른 동네 주민들 정보도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추가해야겠네요. 이렇게 이전 관계에 다른 관계를 더하면서 새로운 성질을 가지게 되는 것을 페포라고 합니다. ■ 폐포의 정의 집합 A에 대한 관계를 R이라 하고, 관계가 가질 수 있는 P라고 할 때, 집합 A에 대한 관계 S가 관계 R을 포함하면서 성질 P를 갖는다면 S를 P에 대한 .. 2020. 7. 30.

[이산수학]합성관계(Composition)의 정의/표기/연산(거듭제곱, 추이관계와 관계) [이산수학]합성(Composition)관계의 정의/표기/연산 ■ 합성관계의 정의 세 개 이상의 집합이 관계가 있을 때, 이 관계로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내는 것을 합성관계라고 합니다. ■ 합성관계의 연산 □ 합성관계의 거듭제곱 □ 추이관계와 거듭제곱의 관계 □ 기타연산 예제는 더보기를 눌러주세요. 더보기 □ 합성관계의 거듭제곱 □ 추이관계와 거듭제곱의 관계 □ 기타연산 ----------------------------------- 이산수학 총정리 목록 보러가기 ----------------------------------- 2020. 7. 30.

[이산수학]관계의 성질이란?(반사, 비반사, 대칭, 추이) [이산수학]관계의 성질이란?(반사, 대칭, 추이) 반사 성질에 따라 ■ 반사관계(Reflexive Relation) 모든 a ∈ A에 대해 (a, a) ∈ R인 관계 집합 A에 대한 관계 R이 반사관계가 성립하려면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자기 자신과 대응하는 순서쌍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집합 A = {1, 2, 3} 에 대한 관계 R이 반사관계가 되려면 순서쌍 (1, 1), (2, 2), (3, 3)이 모두 관계 R의 원소로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 비반사관계 (Irreflexive Relation 모든 a ∈ A에 대해 (a, a) ∉ R인 관계 집합 A에 포함된 모든 원소에 대해 (a. a)가 관계 R에 존재하지 않는 관계입니다. 그러므로 집합 A에 포함되는 원소 중 하나라도 (a,.. 2020. 7. 30.

[이산수학]관계의 표현 종류(화살표선도,좌표도표,관계행렬,방향그래프) [이산수학]관계의 표현 종류(화살표선도,좌표도표,관계행렬,방향그래프) ■ 화살표 선도(Arrow Diagram)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관계 R이 있을 때, 두 집합 원소 사이의 관계를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법 관계는 둘 이상의 집합 원소들 간의 대응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화살표 선도를 이용해 표기할 수 있습니다. 순서쌍의 집합에서 순서쌍의 앞에 있는 원소에서 시작하여 순서쌍의 위에 오는 원소로 향하는 화살표로 표기합니다. 예를 들어 집합 A = {1, 2, 3}과 집합 B = {a, b}의 이항관계 R = {(1, b), (2, a), (2, b), (3, a)}를 화살표 선도로 표현하면 두 집합 간에 네 개의 화살표가 그려집니다. ■ 좌표도표(Coordinate Diagram) 집합 A에서 집합 .. 2020. 7. 30.

[이산수학]관계의 유형_이항관계(Binary), n항관계(n-ary), 역관계(Inverse)란?_예제포함 이산수학 이항관계(Binary), n항관계(n-ary), 역관계(Inverse)란? ■ 이항관계(Binary Relation) 집합 A, B가 있을 때,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관계로, A × B의 부분집합 두 개의 집합 A, B에 속하는 원소들 중 a∈A와 b∈B 간에 관계가 존재할 때, 이러한 관계를 이항관계라고 합니다. 이 이항관계에 포항되는 순서쌍들은 학생 정보 집합의 곱집합의 부분집합입니다. 예제 집합 A = {1, 2}, 집합 B = {a, b, c} 일 때, A에서 B로 가는 가능한 관계 R를 구하라. 풀이 더보기 예제풀이 집합 A와 집합 B 간의 가능한 관계 R은 A × B 집합이다. ∴ A × B = {(1, a),(1, b),(1, c),(2, a),(2, b),(2, c)} ■ .. 2020. 7. 30.

[이산수학]관계의 정의역(Domain), 공변역(Codomain), 치역(Range)이란?_예제포함 [이산수학]관계의 정의역(Domain), 공변역(Codomain), 치역(Range)이란? ■ 정의역(Domain)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이항관계 R에 속한 순서쌍의 첫 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 집합, 즉 집합 A dom(R) = {a|a ∈ A} ■ 공변역(Codomain)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이항관계 R에 속한 순서쌍의 두 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 집합, 즉 집합 B codom(R) = {b|b ∈ A} ■ 치역(Range)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관계 R에 속한 순서쌍의 두 번째 원소들을 모아놓은 집합, 공변역의 부분집합 ran(R) = {b|(a, b) ∈ R} ⊆ B 예제 집합 A = {x|1 ≤ x ≤ 5, x는 정수} 일 때, A에서 A로 가는 관계 R은 다음과 같다.. 2020. 7. 30.

[이산수학]행렬식이란?2차, 3차 구하는 법(소행렬, 소행렬식, 여인수, 여인수행렬 개념까지) 이산수학 행렬식이란?2차, 3차 구하는 법(소행렬, 소행렬식, 여인수, 여인수행렬 개념까지) 행렬은 하나의 배열 구조 안에 하나 이상의 실수 집합으로 구성됩니다. 행렬식은 이러한 구조의 행렬 중에서도 정사각행렬을 대표하는 수를 구하는 식으로, 역행을 구하는 데 유용하게 쓰입니다. ■ 행렬식(Determinant) n차 정사각행렬에 대응하는 수를 구하는 식 □ 2차 정사각행렬 2차 정사각행렬의 행렬식을 구해보겠습니다. 대각선으로 원소들을 곱해서 빼는 방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 3차 정사각행렬 3차 정사각행렬의 행렬식을 구해보겠습니다. 화살표 방면의 원소들을 곱해서 더하고 동그라미1, 2 번에서 나오는 결과를 빼서 행렬식을 구할 수 있습니다. 위 같은 방법은 3차 정사각행렬까지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2020. 7. 30.

[이산수학]행렬의 종류(영행렬, n차 정사각행렬, 대각행렬, 단위행렬, 전치행렬, 대칭행렬, 부울행렬) 이산수학 행렬의종류(영행렬, n차 정사각행렬, 대각행렬, 단위행렬, 전치행렬, 대칭행렬, 부울행렬) 행렬은 형태 혹은 구성 원소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영행렬(Zero Matrix) 모든 구성요소가 0입니다. ■ n차 정사각행렬(n-Square Matrix) n × m 행렬에서 m = n인 행렬 ■ 대각행렬(Diagonal Matrix) ■ 단위행렬(Unit Matrix, Identity Matrix) 대각행렬에서 대각원소가 모두 1인 행렬 ■ 전치행렬(Transpose Matrix) 행과 열을 바꾼 n × m 행렬 전치행렬의 경우 역행렬을 구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대칭행렬(Symmetric Matrix) 예) ■ 부울행렬(Boolean Matrix, Zero-One.. 2020. 7. 30.

[이산수학]행렬의 연산(덧셈, 뺄셈, 스칼라(실수) 곱,곱셈)_예제포함 이산수학 행렬의 연산(덧셈, 뺄셈, 스칼라(실수) 곱, 곱셈) 예제포함 행렬에서 직접적으로 가능한 연산은 덧셈, 뺄셈, 스칼라(실수) 곱, 곱셈입니다. ■ 행렬의 덧셈과 뺄셈 두 행렬 A, B에서 같은 자리에 있는 원소끼리 더하거나 뺍니다. 덧셈 표현: A+B 뺄셈 표현: A-B 행렬의 덧셈은 두 행렬의 크기가 같아야만 연산할 수 있습니다. 즉, 행렬 A의 크기가 n × m이면, 행렬 B의 크기도 n × m 이어야 합니다. □ 예제 ■ 행렬의 스칼라 곱(Scalar Multiplication) 행렬 A에 실수 k를 곱하는 연산 행렬에 실수 값을 곱하려면, 행렬의 각 원소마다 그 실수 값을 곱하면 됩니다. □ 예제 ■ 행렬의 곱셈 m × n 행렬 A와 r × s 행렬 B가 있고 n = r일 때, 즉 행렬 .. 2020. 7. 30.

[이산수학]집합의 대수법칙이란? 활용예제로 이해하기 이산수학 집합의 대수법칙이란? 활용예제로 이해하기 숫자에 대한 사칙연산(+, -, ×, ÷)에도 일정한 규칙이 있듯이, 집합의 연산에도 정해진 규칙이 있습니다. 이를 집합의 대수법칙이라고 하며, 아래 표와 같이 10가지가 있습니다. 대수법칙을 이용하면 복잡하거나 필요 없는 연산을 간단히 할 수 있습닌다. 다음 두 개의 예제를 통해서 대수법칙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예제1 대수법칙을 이용해 흡수법칙 A ∩ (A ∪ B) = A를 증명하시오. 예제2 접합 A, B에 대하여 다음 식을 간략화하시오. 2020. 7. 29.

[이산수학]집합의 종류는?(공집합, 부분집합, 진부분집합) 이산수학 집합의 종류는?(공집합, 부분집합, 진부분집합) ■ 전체집합(Universal Set) : 논의 대상이 되는 원소 전체를 포함하는 집합, U 예로 집합 A가 다음과 같다고 하면, A = {x | x > 13, x ∈ N} 집합 A는 원소 x를 가지는데, x는 13보다 큰 자연수입니다. 즉 집합 A는 자연수 중 13보다 큰 자연수의 집합이며, 집합 A를 포함하는 전체집합은 자연수집합(N)이 됩니다. ■ 공집합(Empty Set) : 하나의 원소도 포함하지 않는 집합, ∅ 또는 { } |∅| = 0 공집합은 어떠한 원소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공집합의 기수는 항상 0입니다. ■ 부분집합(SubSet) -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에 포함되는 경우, |A| ≤ |B| - A와 B가 상등이거나, .. 2020. 7. 29.

[이산수학]집합 관련 기본용어 정리(기수,상등,표기방식,포함관계) 이산수학 집합 관련 기본용어 정리(기수,상등,표기방식,포함관계) ■ 집합(Set) 명확한 기준에 의해 분류되어 공통된 성질을 가지며 중복되지 않는 원소(element, member)의 모임 영문 대문자(A, B, C, ...)로 나타냅니다. ■ 집합의 표기방식 1 원소나열법 - 집합에 포함된 원소를 일일이 나열하는 방법 - 주로 원소의 수가 유한일 때 사용합니다. - 원소들의 수가 많고, 원소들이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경우 말줄임표(···)를 이용해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 A = {1, 2, 3} 2 조건제시법 - 집합에 포함되는 원소의 공통적인 성질을 조건식으로 제시하는 방법 - 주로 원소의 수가 많거나, 무한일 때 사용합니다. - | 기호 중심으로 왼쪽에는 원소를 대표하는 변수를, 오른쪽에는 원소.. 2020. 7. 29.

[이산수학]집합의 분할이란?_분할의 성질과 집합류의 정의 이산수학 집합의 분할이란?_분할의 성질과 집합류의 정의 분할은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 있어 중요한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반 학생들이 소풍을 간다고 합시다. 1박 2일로 다녀오는거라 숙소를 잡았습니다. 남녀 나누고, 학번순으로 5명씩 잘랐습니다. A, B, C, ...,N조 나눈 것이죠. 담임선생님은 학생들을 잘 관리하기 위해 일정 기준으로 나눈 학생 리스트를 가지고 있다가 현장에 도착해서 인원수 체크할 때 각 조원들의 수의 합계를 구해봅니다. 그렇게 데이터를 통합했을 때 빠지는 인원이 없는지 확인하면 되니까요. 이런식으로 데이터 집합에서도 분할과 통합이 이루어집니다. 집합의 분할의 이해하기 위한 개념들을 보겠습니다. ■ 분할(Partition) 공집합이 아닌 임의의 집합 A를, 서로소면서 공집합이 아닌.. 2020.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