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공학231

[이산수학]그래프에서 차수란?(외차수, 내차수 구하는 예제 포함) ■ 차수(Degree) 꼭짓점 v에 근접하는 변의 수 홀수점(Odd Vertex): 차수가 홀수인 꼭짓점 짝수점(Even Vertex): 차수가 짝수인 꼭짓점 예제 풀이 더 보기를 클릭하세요 더보기 예제풀이 d(a) = 2 d(b) = 2 d(c) = 4 ■ 외차수(Out-degree) / 내차수 (In-degree) 방향 그래프에서 - 외차수: 꼭짓점 v를 시작으로 하는 화살표의 수 [out - d(v)] - 내차수: 꼭짓점 v를 끝으로 하는 화살표의 수 [in - d(v)] 예제 풀이 더 보기를 클릭하세요 더보기 예제풀이 out - d(a) = 1 in - d(a) = 0 out - d(b) = 2 in - d(b) = 0 out - d(c) = 0 in - d(c) = 2 out - d(d) = 1.. 2020. 8. 12.

[이산수학]최단경로 문제, 깊이 우선 탐색, 너비 우선 탐색이란? (예제포함) 그래프의 활용: 최단경로 문제, 깊이 우선 탐색, 너비 우선 탐색 ■ 최단경로 문제(Shortest Path Problem) |E| > 0 인 그래프 G = (V, E)에서 꼭짓점 a, b ∈ V 간의 가장 짧은 거리의 경로를 찾는 문제 출발점(Source): 경로의 시작점 도착점(Destination): 경로의 목적지 최단경로를 구할 때는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 경로에 포함되는 꼭짓점들을 나열하고, 각 변 혹은 화살표에 부여된 가중치를 더하여 가장 적은 가중치의 합을 갖는 경로를 선택합니다. 이 때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시작점으로부터 최단경로를 갖는 점들을 차례로 탐색해가는 알고리즘입니다 . 다음과 같은 가중치 그래프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 깊이 우선 탐색(.. 2020. 8. 10.

[이산수학]인접행렬, 인접리스트로 그래프 표현하기 그래프의 표현: 인접행렬, 인접리스트 ■ 인접행렬(Adjacency Matrix) 인접행렬은 그래프를 행렬 형태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그래프를 구성하는 꼭짓점을 행렬의 각 원소로, 꼭짓점에 근접하는 변을 1 또는 0으로 표기하여 그래프로 표현합니다. 그래프 G = (V, E) 에서 |V| = n일 때, n × n 행렬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그래프 G = (V, E) 에서 |V| = 3일 때, 그래프 G를 인접행렬로 표현하면 3 × 3 행렬이 됩니다. 그리고 꼭짓점에 근접하는 변이 두 꼭짓점 사이에 존재하면 행렬에 해당하는 원소의 값이 1, 꼭짓점 간에 변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행렬에 해당하는 원소의 값이 0이 됩니다. 위 그래프를 인접행렬로 표현해보겠습니다. G = (V, E) V = {a, b.. 2020. 8. 10.

[이산수학]해밀턴 그래프란?(예제포함) 해밀턴 그래프의 정의/예제포함 수학자 해밀턴은 그래프 이론을 이용해 어떤 길(변)을 지나든지 상관없이 모든 지역(꼭짓점)을 반드시 한 번씩만 지나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 해밀턴 경로(Hamiltonian Path) 그래프 G = (V, E)의 모든 꼭짓점을 꼭 한 번씩 지나는 경로 ■ 해밀턴 회로 / 순환( Hamiltonian Circuit /Hamiltonian Cycle) 그래프 G = (V, E)의 꼭짓점 v에서 시작해 모든 꼭짓점을 꼭 한 번씩만 지나 v로 돌아오는 회로 ■ 해밀턴 그래프(Hamiltonian Graph) 해밀턴 회로를 포함하는 그래프 G = (V, E) 예제 다음 그래프에서 해밀턴 경로나 해밀턴 회로가 있는지 밝혀라. 풀이 더 보기를 클릭하세요. 더보기 예제보기 (1.. 2020. 8. 10.

[이산수학]그래프의 종류2(연결 그래프, 완전 그래프, 정규 그래프, 이분 그래프) 이산수학_그래프의 종류2(연결 그래프, 완전 그래프, 정규 그래프, 이분 그래프) 예제로 이해하기 ■ 연결 그래프(Connected Graph) 그래프 G = (V, E) 내에 있는 임의의 꼭짓점 u, v 간에 경로가 있는 그래프 예제 다음 중 연결 그래프인 것과 아닌 것을 구분하라. 풀이 더보기 예제풀이 (1) 그래프 안에 있는 모든 꼭지점 간에 경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e에서 d로 가는 경로는 e - b- c - a- f - b - d다. ∴ 연결그래프다. (2) 그래프의 꼭짓점들 중 a, b, c, d 와 e 혹은 f 간에는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다 . ∴ 연결그래프가 아니다. ■ 완전 그래프(Complete Graph) 그래프 G = (V, E) 내에 있는 모든 꼭짓점 u, v 간에 변이 있는 .. 2020. 8. 9.

[이산수학]오일러 그래프 정의와 정리(예제포함) 오일러 그래프 정의와 정리(예제포함) 수학자 오일러는 어떤 그래프 G = (V, E)가 있을 때, 그래프 안에서 경로나 순환을 찾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오일러는 그래프를 구성하는 모든 변을 지나는 경로를 찾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 오일러 경로(Eulerian Path) 그래프 G = (V, E)의 모든 변을 꼭 한 번씩 지나는 경로 ■ 오일러 회로 / 순환( Eulerian Circuit /Eulerian Cycle) 그래프 G = (V, E)의 꼭짓점 v에서 시작해 모든 변을 꼭 한 번씩 지나 v로 돌아오는 회로 ■ 오일러 그래프(Eulerian Graph) 오일러 회로를 포함하는 그래프 G = (V, E) 예제 다음 그래프에서 a에서 시작하는 오일러 그래프를 찾아라. 풀이 .. 2020. 8. 9.

[이산수학]그래프의 종류1(부분 그래프, 부분신장 그래프, 동형 그래프, 평면 그래프) ■ 부분 그래프(Subgraph) 그래프 G = (V, E)가 있을 때, V' ⊆ V 이고 E' ⊆ E인 그래프 G' = (V', E') 어떤 그래프 G가 있을 때 그래프에 포함되는 일부 꼭짓점과 변으로만 그린 그래프를 부분 그래프라고 합니다. ■ 부분신장 그래프(Spanning Graph) 그래프 G = (V, E)가 있을 때, V' = V 이고 E' ⊆ E인 그래프 G' = (V', E') 부분 그래프 중에서 그래프 G의 꼭짓점을 모두 포함한 부분 그래프를 부분신장 그래프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그래프 G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있다고 하면, G = (V, E) V = {(A, B, C, D)} E = {(A, B), (A, D), (B, C), (C, D), (D, B)} G 그래프, G의 부분 그.. 2020. 8. 9.

[이산수학]다중그래프, 방향그래프, 가중치그래프란?(예제포함) ■ 다중 그래프(multi-graph) 그래프 G = (V, E) 중 서로 다른 두 꼭짓점 사이에 두 개 이상의 변을 허용하는 그래프 다중 그래프 변 집합에는 같은 순서쌍이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 꼭짓점에 근접하는 변을 두 이상 허용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두 꼭짓점 a와 b에 근접하는 변이 세 개인 경우 변의 집합은 {(a, b), (a, b), (a, b)}를 부분집합으로 갖습니다. ■ 방향 그래프(Directed Graph) 변에 방향이 있는 그래프 뱡향 그래프를 순서쌍으로 표기할 때는 화살표가 시작하는 꼬짓점을 앞에, 화살표가 끝나는 꼭짓점을 뒤에 씁니다. 그러므로 꼭짓점에 근접하는 화살표가 둘 이상인 경우 화살표 방향에 따라 순서쌍의 꼭짓점 순서가 달라집니다. 즉 와 는 다릅니다. ■ 가.. 2020. 8. 9.

[이산수학]그래프 개념과 용어 정리(루프, 경로, 회로, 인접)/예제포함 그래프는 시작적 도구로써 복잡한 작업의 과정이나 구조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현실 세계의 요소를 점의 집합과 그 점들 간의 선으로 표현합니다. 그래서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도로, 도시의 지하철 지도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 그래프(Graph) 그래프는 원소를 꼭짓점으로, 원소들 간의 관계를 변으로 표현합니다. 즉, 그래프는 꼭짓점과 변으로 구성되므로 꼭짓점의 집합과 변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G - (V, E)는 "그래프 G는 꼭짓점 집합 V와 변의 집합 E로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인접(adjacent)과 근접(incident) 그래프 G = (V, E)에서 꼭짓점 u, v를 연결한 변 e가 있을 때 꼭짓점 u,v는 서로 인접하고, 변 e는 꼭짓점 u,v에 근접합니다. 그래프에서는 .. 2020. 8. 9.

[이산수학]함수의 종류(항등함수, 역함수, 상수함수, 특성함수, 바닥함수, 천정함수) ■ 항등함수(Identity Function) 집합 A에 대한 함수 f: A → A가 f(a) = a로 정의되는 관계 - 정의역과 공변역이 같고 입력한 정의역 원소의 값과 출력된 치역의 원소의 값이 같은 함수를 항등함수라고 합니다. - 그래서 항등함수는 정의역, 공변역, 치역이 모두 같습니다. - 정의역 원소가 서로 다를 때 그에 대응하는 결과도 서로 다르므로 단사함수입니다. - 공변역의 모든 원소 y가 f(x) = y를 만족하는 정의역 원소 x를 갖으므로, 전사함수이기도 합니다. - 단사함수이기도 하고, 전사함수이기도 하므로 항등함수는 전단사함수입니다. 항등함수와 다른 함수와의 합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역함수(Inverse Function) 전단사함수 f: A → B에 대해 B → .. 2020. 8. 8.

[이산수학]합성함수의 연산과 성질 ■ 합성함수의 연산 예제 두 함수에 대한 합성함수는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예제 두 함수 f:R → R, g:R → R에 대해 f(x) = x^3 + 2x, f(x) = x - 5일 때, 다음을 구하여라 (1) g ∘ f (2) f ∘ g 풀이 (1) g ∘ f = g(f(x)) = g(x^3 + 2x) = x^3+2x-5 (2) f ∘ g = f(g(x)) = f(x-5) = (x-5)^3 + 2(x-5) = x^3 -15x^2+77x-135 ■ 합성함수의 성질의 특징 집합 A,B,C가 있고, f: A →B, g: B→C에 대해 g ∘ f가 함성함수일 경우, (1) f와 g가 단사함수면 g ∘ f도 단사함수입니다. (1) f와 g가 전사함수면 g ∘ f도 전사함수입니다. (1) f와 g가 전단사.. 2020. 8. 8.

[이산수학]합성함수란? _개념 익히고 정의역, 공변역 구하기 ■ 합성함수란? (Composition Function) 두 함수를 합성한 함수 g º f = (g º f)(x) = g(f(x)), ∀x ∈ A 두 함수 f: A → B와 g:B → C가 있을 때, 집합 A의 각 원소를 집합 C의 원소에 대응하는 새로운 함수 합성함수는 표기를 주의해야 합니다. g º f라면 x를 함수 f에서 먼저 처리하고 그 결과를 함수 g에서 처리하여 결과를 얻습니다. 예제/풀이 ■ 합성함수의 정의역, 공변역 구하기 예제/풀이 (위 예제와 이어짐) 수학으로 이해하는 디지털 논리 이산수학 272p ----------------------------------- 이산수학 총정리 목록 보러가기 ----------------------------------- 2020. 8. 8.

[이산수학]함수의 성질(단사함수,전사함수,전단사함수) 함수는 입력과 출력의 대응 형태에 따라 성질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함수의 성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모든 공변역의 원소가 정의역의 원소들과 대응하는지, 또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정의역 원소들이 하나의 공변역 원소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됩니다. ■ 단사함수 (Injection Function / One-to-one Function / Injection) 정의역의 모든 원소들이 서로 다른 공변역 원소와 대응하는 함수 -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원소가 서로 다른 상(image)을 갖음 - 정의역의 원소는 공변역의 원소보다 수가 적거나 같아야 함 - 치역 원소도 공변역의 원소보다 수가 작거나 같아야 함 ■ 전사함수 (Subjective Function / One Function / Subjective) 공.. 2020. 8. 6.

[이산수학]두 함수의 합과 곱, 그 정의역 구하기_예제포함 [이산수학]두 함수의 합과 곱, 그 정의역 구하기_예제포함 두 함수 모두 공변역이 실수일 때 함수 간의 연산도 가능합니다. ■ 함수의 합(Sum)과 곱(Product) - 두 함수 f: X → R과 g: Y → R이 있을 때, (f+g)(x) = f(x) + g(x) (fg)(x) = f(x) g(x) - 함수의 합과 곱에 대한 정의역 dom(f+g) = dom(fg) = dom(f) ∩ dom(g) 예제 다음 두 함수의 합과 곱을 구하고, 그 정의역을 구하라. 풀이 더보기 예제풀이 수학으로 이해하는 디지털 논리 이산수학 262p 참고 ----------------------------------- 이산수학 총정리 목록 보러가기 ----------------------------------- 2020. 8. 6.

[이산수학] 함수의 상, 정의역, 공변역, 치역 ■ 상(Image), 정의역(Domain), 공변역(Codomain), 치역(Range)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함수 f: A → B에 대해, 집합 A의 원소 a에 대응하는 집합 B의 원소 b는 상(함숫값)라고 한다. 집합 A를 정의역라고 하며 dom(f)로 표기한다. 집합 B를 공변역라고 하며 codom(f)로 표기한다. 상(함숫값)의 집합을 치역라고 하며 ran(f)={f(a)|a ∈ A}로 표기한다. 예제 다음은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관계를 보이는 그림입니다. 함수인지 아닌지 판별하고 함수면 정의역, 공변역, 치역을 구하세요. 풀이 (1) 집합 A의 원소 중 c에 대응되는 상을 갖지 않습니다. ∴ 함수가 아니기 때문에 정의역, 공변역, 치역을 구할 수 없습니다. (2) 집합 A의 모든 .. 2020. 8. 6.

[이산수학] 함수란? 함수와 관계의 차이 ■ 함수란 (Function) f: A → B 집합 A, B에 대해 집합 A에서 B로 가는 관계가 성립할 때, 집합 A의 원소 a에 대해 집합 B의 원소 b 하나가 대응되는 관계 a ∈ A,b ∈ B고 (a, b) ∈ f일 때, f(a) = b ■ 대응이란(Correspondence) 집합 A, B가 있을 때, 집합 A의 원소 a에 대해 집합 B의 원소 b가 확정되는 경우 “b는 a에 대응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1부터 x까지 더하는 알고리즘이 있다고 합시다. 정수값인 x를 입력받으면 1부터 x까지의 합을 구해 결과 s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입력 받아 필요한 처리를 하고 출력하는 형태를 함수라고 합니다. 위의 예에서 '입력 x와 출력s 함수 sum에 의해 대응되는 관계', '함수sum 은 입.. 2020. 8. 6.

[이산수학]집합의 연산1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_벤 다이어그램/예제 이산수학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벤 다이어그램/예제 ■ 합집합 집합 A, B가 있을 때, 집합 A와 B에 모두 속하거나 두 집합 중 합집합에 속하는 원소들로 구성되는 집합 A U B = {x|x∈A∨x∈B} ■ 교집합 집합 A, B가 있을 때, 집합 A와 B에 모두 속하는 원소로 구성되는 집합 A ∩ B = {x|x∈A∧x∈B} ■ 차집합 집합 A, B에 대하여 A에는 속하지만 B에는 속하지 않는 원소로 구성되는 집합 A - B = {x|x∈A∧x∈∉B} 예제 집합 A, B, C를 보고 다음을 구하여라 A = {a, b, c, d} B = {c, d, f. g, h} C = {f. h} (1) A U B (2) B ∩ C (3) B - A 풀이 더보기 예제풀이 (1) A U B = {a, b, c, d.. 2020. 8. 2.

[이산수학]집합의 연산2 (대칭차집합, 여집합, 곱집합, 멱집합)_벤다이어그램, 예제 [이산수학]집합의 연산2 (대칭차집합, 여집합, 곱집합, 멱집합) ■ 대칭차집합 (Symmetric Difference): A ⊕ B 집합 A, B에 대하여 A - B에 속하거나 B - A에 속하는 원소로 구성되는 집합 A ⊕ B = {x|(x∈A∧x∉B)∨(x∉A∧x∈B)} = {x|(x∈A-B)∨(x∈B-A)} ■ 여집합 또는 보집합(Complement) 워드 ■ 곱집합(Cartesian Product): A X B 집합 A, B에 대하여 a ∈ A, b ∈ B일 때, 순서쌍 (a, b)의 집합 A × B = {(a, b)|a∈A ∧ b∈B} |A × B| 곱집합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즉, A × B와 B × A의 결과는 서로 다릅니다. ■ 멱집합(Power Set): P(A) n개의 원소.. 2020. 8. 2.

[이산수학]관계의 정의역, 공번역, 치역이란? 구하는 법은? 관계와 관련된 집합들의 명칭은 위치나 의미에 따라 달리 표현합니다. ■ 정의역(Domain)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이항관계 R에 속한 순서쌍의 첫 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 집함, 즉 집합 A dom(R)={a|a∈A} ■ 공번역(Codomain)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이항관계 R에 속한 순서쌍의 두 번째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 집합, 즉 집합 B codom(R)={b|b∈B} ■ 치역(Range)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관계 R에 속한 순서쌍의 두 번째 원소들을 모아놓은 집합, 공번역의 부분집합 ran(R)={b|(a,b)∈R}⊆B 예제 집합 A = {(x|1≤x≤5, x는 정수}이고, A에서 A로 가는 관계 R은 다음과 같을 때, 관계 R의 정의역, 공변역, 치역을 구하세요. R =.. 2020. 8. 2.

[이산수학]관계란? 순서쌍, 순서쌍 집합이란? ■ 이산수학에서 관계란? 이산수학에서의 관계는 다른 두 집합에 속하는 서로 다른 두 원소의 관련사항을 나타낸 것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부서별로 성과에 따라 보너스를 준다고 하면 필요한 정보들이 있습니다. 부서별 직원 명단과 직원별 성과 보고서가 필요할 것입니다. 둘 자료를 잘 취합해야겠지요. 이런 식으로 데이터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 서로 다른 집합(테이블)에 속하는 원소(데이터)간의 관계에 대한 표현, 특징, 연산 등에 대해 다룹니다. ■ 순서쌍 집합이란? 관계를 가지는 집합(테이블)의 원소(데이터)들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 원소들의 순서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우수 직원 명단(테이블)"이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각 필드를 다른 순서로 입력한다면 .. 2020. 8. 2.

[이산수학]역행렬을 구할 수 있는지 구분하기(가역행렬,특이행렬) [이산수학]역행렬을 구할 수 있는지 구분하기(가역행렬,특이행렬) 역행렬이란? ■ 가역행렬(Invertible Matrix, Nonsingular Matrix) 역행렬이 존재하는 행렬 ■ 특이행렬(Singular Matrix)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 행렬 ■ 역행렬을 구할 수 있는지 구분하기 행렬식이 0인 경우는 정사각행렬이라 하더라도 역행렬을 구할 수 없습니다. 행렬식이 0이면 수반행렬에 곱하는 1/det(A)가 부모가 0이 되기 때문입니다. ※수반행렬: 여인수행렬에 대한 전치행렬 ※전치행렬: m × n 행렬의 열과 행을 바꾼 n × m 행렬 예제를 통해 이해해보겠습니다. 수학으로 이해하는 디지털 논리 이산수학-한빛미디어 181p 다음 행렬이 역행렬을 구할 수 있는지 없는지 구분하고, 역행렬을 구할 수 .. 2020. 7. 30.

[이산수학]역행렬이란?_행렬식과 여인수, 전치행렬을 이용해서 구하기 [이산수학]역행렬이란?_행렬식과 여인수, 전치행렬을 이용해서 구하기 실수 a의 곱셈에 대한 역원으로 1/a (a≠0)이 있듯이 행렬에도 역행렬이 있습니다. 즉 대수 연산에서 어떤 값 a의 곱셈에 대한 역원이 a와 연산하여 곱셈에 대한 항등원 I이 나오는 것처럼 행렬 A의 역행렬은 행렬 A와 곱셈 연산하여 단위행렬 I가 나옵니다. ■ 역행렬 정사각행렬 A에 대해 AB = BA = I 를 만족하는 행렬 B 예제 풀이 위 방법은 차수가 높아질수록 변수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행렬식과 여인수, 전치행렬을 이용해 역행렬을 구하기도 합니다. ■ 행렬식을 이용한 역행렬 ■ 수반행렬 여인수행렬에 대한 전치행렬 ※전치행렬: m × n 행렬의 열과 행을 바꾼 n × m 행렬 역행렬을.. 2020. 7. 30.

[이산수학]부울행렬의 연산자와 연산의 특징 이산수학 부울행렬의 연산자와 연산의 특징 부울행렬은 모든 원소가 부울값(0과 1)으로만 구성된 행렬입니다. 그래서 일반 행렬과 다른 연산 방식을 이용합니다. 일반행렬 특징보러가기 ■ 부울행렬의 연산자 연산자 중 합과 교차는 두 행렬의 덧셈과 뺄셈처럼 같은 자리에 있는 원소 간에만 이루어집니다. - 합은 논리연산자 중 논리합(∨)연산과 방식이 같습니다. - 곱은 논리연산자 중 논리곱(∧)연산과 방식이 같습니다. - 부울곱(boolean product)은 행렬의 곱셈 방식과 논리합, 논리곱의 연산을 적용하여 수행합니다. ■ 부울행렬의 연산의 특징 1) A∨A=A, A∧A=A 2) A∨B=B∨A, A∧B=B∧A 3) (A∨B)∨C=A∨(B∨C), (A∧B)∧C=A∧(B∧C), A⊙(B⊙C)=(A⊙B)⊙C 4).. 2020. 7. 30.

[이산수학]동치관계와 동치류란?_예제포함 이산수학 동치관계, 동치류 예제로 이해하기 ■ 동치관계 관계에서 동치관계라는 것은 집합의 원소들이 '같다'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어떤 관계가 동치관계라고 하면, 그 관계에 포함된 순서쌍 원소 (a, b)에서 a와 b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10진수의 7과 2인수 111이 같은 수임을 의미하는 것과 같습니다. 동치관계가 성립되려면 반사관계, 대칭관계, 추이관계가 모두 성립해야 합니다. 예제 정수 집합 Z에 대한 관계 R = {(a,b) ∈ Z × Z|a=b} 일 때, 관계 R이 동치관계인지 판별하라. 풀이 더보기 예제풀이 - (a,b) ∈ R일 때, a = b이다. ∴관계 R은 반사관계다. - (a,b) ∈ R일 때, a = b므로 b = a도 성립하여 (b, a) ∈ R이다. ∴관계 R은 대칭.. 2020. 7. 30.

[이산수학]관계의 폐포(Closure)란? 반사폐포, 대칭폐포를 관계행렬, 방향그래프로 나타내기 이산수학_관계의 폐포(Closure)란? 반사폐포, 대칭폐포 폐포는 원래의 관계에 순서쌍 원소를 추가하여 특정 성실에 맞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킵니다. 예를 들어 지역민만 대출할 수 있는 도서관이 있다고 합시다. 도서관 데이터베이스는 지역민 정보만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겠지요. 하지만 내년부터 다른 동네주민들도 책을 빌릴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변경한다고 합니다. 이제는 다른 동네 주민들 정보도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추가해야겠네요. 이렇게 이전 관계에 다른 관계를 더하면서 새로운 성질을 가지게 되는 것을 페포라고 합니다. ■ 폐포의 정의 집합 A에 대한 관계를 R이라 하고, 관계가 가질 수 있는 P라고 할 때, 집합 A에 대한 관계 S가 관계 R을 포함하면서 성질 P를 갖는다면 S를 P에 대한 .. 2020. 7. 30.